
ARD MODULE
ARD MODULE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운행 중 정전(Power Failure)이 발생할 경우, 승강기는 층의 중간에 정지하게 되어 승객이 승강기 내에 갇히는 등 불편을 겪게 된다. 더욱이 정전상태에서 갇힌 승객들이 무리한 탈출을 시도하다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도 간혹 발생한다. 이런 상황에서 승강기를 최근접층으로 이동시킨 후 도어를 오픈시켜 승객을 구출하는 장치를 통상 'ARD(Automatic Rescue Device)' 혹은 'ALP(Automatic Landing for Power Failure'라고 칭하고 있다.
ARD의 분류
-직접구동형 ARD
정전시 ARD가 엘리베이터의 통제권을 기존 제어반으로부터 접수한 후, 엘리베이터용 전동기를 직접 구동하여 승객을 구출하는 방식이다. 기존 제어반과 ARD 간의 신호체계가 다소 복잡한 반면, 기존 제어반의 소프트웨어(S/W)에 독립적이라는 장점을 가진다.
-간접구동형 ARD
정전 발생시 ARD는 기존 제어반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기능만을 가지며, 엘리베이터의 통제권은 여전히 기존 제어반이 가지면서 승객을 구출하는 방식으로 기존 제어반과 신호체계가 간단하지만 기존 제어반의 소프트웨어를 변경해야 한다. 현재는 결선의 간결함과 구출성능의 향상 등의 이유로 간접구동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 엘리베이터용 ARD의 주요 설치현장은 주로 병원과 같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많이 이용하거나 백화점 등과 같은 다중이용시설물이 대부분이다.

출처 : 지하철용 엘리베이터의 비상구출운전장치, 한국승강기공학회지 (2004년 12월), 정종태 외 2명, (주)성암전기